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건강정보

진료시간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3:00 (2.4)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 공휴일 : 휴진. * * 토요일은 2.4주(짝수 주)만 진료합니다.

032-526-1900

칼럼

  • 건강정보
  • 칼럼

제목

뭐였더라, 자꾸만 깜빡깜빡… 건망증일까, 치매의 시작일까?

image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한 번쯤 '왜 이렇게 자꾸 깜빡하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병원을 찾는 많은 환자분들도 "혹시 치매가 아닐까요?"라는 두려움으로 오시곤 합니다. 하지만 모든 기억력 저하가 곧바로 치매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교적 가벼운 증상인 '경도인지장애'일 수 있습니다. 경도인재장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 경도인지장애... 일상 전반에 큰 문제는 없어
경도인지장애는 정상 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기억력이나 사고력, 주의 집중력 등 인지 기능에 분명한 저하가 나타나지만, 아직은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예전보다 깜빡하는 일이 많아졌다'는 자각이 있고, 가족들도 '좀 변했다'고 느끼지만, 회사 생활이나 가사, 금융 관리 같은 일상생활 전반에는 큰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경도인지장애, 뇌 건강의 '경고등' 켜진 상태
경도인지장애는 모든 경우가 치매로 진행되지는 않고, 일부는 정상 상태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상태가 유지되면 일상 전반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도 않지만, 마냥 지켜보기만 해서도 안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매년 약 10~15% 정도의 경도인지장애가 알츠하이머 치매 등으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즉, 경도인지장애가 있다는 것은 뇌 건강에 '경고등'이 켜진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의 증상이 있다면 검사가 필요합니다.

• 최근 몇 달에서 1~2년 사이 기억력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 중요한 약속이나 물건을 반복적으로 잊는다.
• 가족이나 지인이 '좀 달라진 것 같다'고 느낀다.
• 말을 하다가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 복잡한 일을 처리할 때 실수가 많아졌다.

이런 경우 인지기능 평가(신경인지검사, mri 등)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 건강도 정기검진 필요... 조기 발견과 적극적 관리 중요
경도인지장애라고 해서 치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 시기에 생활습관을 바꾸고 적극적인 관리를 하면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들을 활용하여 잘 관리해나가기를 권합니다.

• 운동: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뇌 혈류 개선에 도움
• 식습관 개선: 지중해식, mind 식단 은 뇌 건강에 도움
• 사회활동 유지: 고립을 피하고 대화, 취미 등을 유지해 치매 예방
• 뇌 훈련: 책 읽기, 퍼즐, 악기 연주 등 뇌 자극 활동을 통해 치매 예방
• 혈관 위험인자 관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을 적절히 조절해 혈관성 치매 예방

기억력 저하가 느껴진다면, 단순히 '나이 탓'으로 넘기지 말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관리는 치매 예방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건강한 노년을 위해, 뇌 건강도 정기검진이 필요합니다.